에브리봇 TS350 맵핑 센서 핵심 가이드

에브리봇 TS350은 물걸레 전용 로봇으로 LiDAR SLAM 맵핑을 지원하는 모델과 구동 방식이 다릅니다. ToF 기반 주행 특징, TS300과의 차이, 라이다 로봇 선택 시 초기 설정과 맵핑 오류 해결 팁을 실사용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에브리봇 TS350 맵핑 센서 핵심 가이드

에브리봇 TS350 맵핑 센서 핵심 가이드

에브리봇 TS350 LiDAR SLAM 여부

TS350은 회전 물걸레 중심 설계로, 지도 생성·저장 중심의 LiDAR SLAM 기능을 특징으로 내세우지 않습니다. 공간 인식은 ToF·충돌·낙하 감지 등 센서 융합 기반이며, 라이다 맵핑 로봇과 사용 경험이 다를 수 있습니다. 세부 스펙은 제조사 자료에서 확인하세요 → TS350 공식 제품 사양

TS350 ToF 센서 주행 원리

ToF는 광 신호의 비행 시간을 측정해 전방 거리와 장애물을 판단합니다. 라이다처럼 방 전체 지도를 고정밀로 저장하기보다, 실시간 거리 정보로 경로를 보정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케이블·얇은 러그·저조도 환경에서는 사전 정리와 적정 조도가 효율에 도움을 줍니다.

TS350 TS300 차이와 선택 포인트

TS350은 주행 속도와 연속 사용 시간이 개선된 세대 모델로 알려져 있습니다. 맵핑 저장이 핵심이 아닌 물걸레 주행 품질, 센서 구성, 유지관리의 편의성, 소모품 비용을 함께 고려하면 합리적입니다. 흡입 겸용 라이다 로봇과는 구매 기준이 달라집니다.

TS350·TS300 차이 정리

항목TS350TS300메모
청소 방식회전 물걸레회전 물걸레흡입 기능 없음
센서 구성ToF·충돌·낙하충돌·낙하 중심모델별 상이
주행 속도약 25 cm/s약 22 cm/s환경에 따라 편차
사용 시간최대 120 분최대 100 분표준 모드 기준
지도 저장비중 낮음비중 낮음라이다 로봇과 다름

LiDAR 맵핑 초기 설정 가이드

라이다 맵핑 로봇(타사 포함)을 선택했다면 다음 절차가 효율적입니다. 도크 전면 1.5 m·좌우 0.5 m 확보, 모든 방 문 개방, 초기 한 차례 전체 스캔 완료까지 기기 이동 금지, 첫 지도 저장 후 방 분할·명명·금지구역(가상 벽·노구역·노맵구역) 설정, 구역·방별 스케줄 최적화 순으로 진행합니다.

라이다 SLAM·ToF 차이 한눈에 보기

구분센서 원리지도 생성장점주의
LiDAR SLAM레이저 스캔고정밀 지도 저장구역·방별 제어 강점상부 라이다 높이 간섭
ToF 기반비행시간 거리지도 비중 낮음저전력·경량화 용이얇은 장애물 민감

맵핑 오류 누락 해결 방법

맵핑 뒤틀림·방 누락은 환경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전선·작은 물체 정리, 적정 조도 유지, 도크 주변 공간 확보, 바퀴·브러시 엉킴 제거, 센서 윈도우 먼지 닦기 후 재시작으로 다수가 복구됩니다. 심한 경우 지도 삭제 후 도크에서 재맵핑이 안정적입니다.

오류·누락 증상별 체크리스트

증상가능 원인해결 방법예상 시간
도크 복귀 실패도크 전면 간섭전면 1.5 m 확보약 5–10 분
방 일부 누락문 닫힘·러그 간섭문 개방·러그 접기약 10–20 분
지도 겹침·왜곡중간에 본체 이동지도 삭제·재맵핑약 30–60 분
센서 오류 메시지윈도우 오염마른 천으로 청소약 3–5 분

라이다 캘리브레이션 안내

라이다 캘리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공정·서비스 영역에 속해 앱에서 직접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전 실패·이상 소음·반복 오류가 지속되면 이물 제거 후 재부팅을 수행하고, 개선이 없을 때는 공식 점검을 권장합니다. TS350처럼 ToF 중심 제품은 센서 청결과 주행 환경 정비가 효과적입니다.

댓글 남기기